인간공학기사 관련

[인간공학기사]기출문제 필수 암기형 반복 정리_2021년 1회

숨고 2025. 1. 12. 12:07


1. 청각적 표시장치가 시각적 표시장치보다 유리한 경우를 3가지 서술하시오.
  - 전언이 간단하다.
  - 전언이 짧다.
  - 전언이 후에 재참조되지 않는다.
  - 전언이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한다.
  - 직무상 수신자가 자주 움직인다.
  - 전언이 시각적인 사상을 다룬다.

2. 다음에 해당하는 양립성의 유형을 쓰시오.
  1) 레버를 올리면 압력이 올라가고, 아래로 내리면 압력이 내려간다.
     - 운동양립성
  2) 오른쪽 스위치를 켜면 오른쪽 전등이 커지고, 왼쪽 스위치를 켜면 왼쪽 전등이 켜진다.
     - 공간양립성

3. Swain과 Guttman의 휴먼에러 중 다음에 적합한 에러를 쓰시오.
  1) 장애인 주차 구역에 주차를 해 벌금 딱지를 받은 경우
     - Commission error (실행에러)
  2) 주차를 한 후 깜빡하고 전조등을 끄지 않아 방전이 된 경우
     - Omission error (생략에러)

4. 근골격계 유해요인 중 작업특성과 관련된 요인 4가지를 쓰시오.
  - 반복성
  - 과도한 힘
  - 접촉 스트레스
  - 부족한 휴식시간
  - 온도, 조명 등
  - 부적절한 작업자세
  - 진동

5. 인체측정치의 응용원칙 3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 조절식 설계 : 체격이 따른 여러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 극단치 설계 : 최대치 설계(큰 사람을 수용할 수 있다면 이보다 작은 사람은 모두 수용한다.)
                          최소치 설계(작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다면 이보다 큰 사람은 모두 수용한다.)
  - 평균치 설계 : 최대치나 최소치, 조절식으로 설계하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에 활용한다.

6. 제조물책임법상 결함의 유형 3가지를 쓰시오.
  - 설계상의 결함
  - 제조상의 결함
  - 표시상의 결함

7. 정상작업영역과 최대작업영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정상작업영역 : 상완을 수직으로 늘어뜨린 채, 전완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영역
  - 최대작업영역 : 상완과 전완을 곧게 펴서 파악할 수 있는 영역

8. 작업공간 설계 시 공간의 배치원리 3가지를 쓰시오.
  - 중요성의 원리 : 시스템 목표 달성에 중요한 구성요소를 편리한 위치에 두어야 함
  - 사용빈도의 원리 : 자주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편리한 위치에 두어야 함
  - 기능성의 원리 : 기능적으로 관련된 부품들을 모아서 배치함
  - 사용순서의 원리 : 구성 요소들 간의 관련 순서나 사용 패턴에 따라 배치해야 함

9. 근육에 존재하는 통증유발점(Trigger point)에 의해 발생하며, 근섬유의 누적 손상으로 근육 또는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무엇이라 하는가?
  - 근막통증후군

1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가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유해성 등 주지시켜야 하는 사항 4가지를 쓰시오.
  - 근골격계 부담작업의 유해요인
  - 근골격계질환의 징후 및 증상
  - 근골격계질환 발생 시의 대처요령
  - 올바른 작업자세와 작업 도구, 작업시설의 올바른 사용방법

11. 작업기억에 속하는 하우 요소들 중에서 음운루프와 시공간 스케치 패드에 대해 설명하시오.
  - 음운루프 : 입력된 말소리 정보를 짧은 시간 동안 음운저장고에 저장한다.
  - 시공간 스케치 패드 : 시각정보와 공간정보를 잠시 동안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12. 다음은 산업안전보건법상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과 관련된 내용이다.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순서대로 쓰시오.
  1) ( 근골격계 부담작업 ) 이란 단순반복 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서 작업량.작업속도.작업 강도 및 작업장 구조 등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작업을 말한다.
  2) ( 근골격계 질환 ) 이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건강장해로서 목, 어깨, 허리, 팔, 다리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3) ( 근골격계 예방관리프로그램 ) 이란 유해요인 조사, 작업환경 개선, 의학적 관리, 교육, 훈련, 평가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된 근골격계질환을 예방, 관리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말한다.

13. 작업개선 ECRS 원칙에서 ECRS가 의미하는 것을 쓰시오.
  - E : eliminate(제거, 불필요한 작업, 작업요소제거)
  - C : combine(결합, 작업요소와의 결합)
  - R : rearrange(재배열, 작업순서의 변경)
  - S : simplify(단순화, 작업, 작업요소의 단순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