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기사 관련

[인간공학기사]기출문제 필수 암기형 반복 정리_2024년 2회

숨고 2025. 3. 31. 15:21

1. 수행도 평가에서 객관적 평가법으로 정미시간 산정 시 작업 난이도 특성을 평가하는 요소를 3가지 이상 열거하시오.

  - 사용 신체부위

  - 페달 사용여부

  - 양손 사용여부

  - 눈과 손의 조화

  - 취급의 주의 정도

  - 중량 또는 저항정도

 

2. 전신작업평가 기법 OWAS(Ovako Working-poture Analysing System)의 평가항목 중 3가지를 쓰시오.

  - 허리

  - 팔

  - 다리

  - 하중

 

3. 양림성의 정의와 각 종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 양립성의 정의

     - 자극과 반응 조합의 공간 운동 혹은 개념적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2) 양립성의 종류

      - 공간 양립성

      - 개념 양립성

      - 운동 양립성

 

4. 비행기의 조종장치는 운용자가 쉽게 인식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코딩을 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비행기의 조종장치에 대한 코딩(암호화) 방법 6가지를 쓰시오.

  - 색 코딩

  - 형상 코딩

  - 크기 코딩

  - 촉감 코딩

  - 위치 코딩

  - 작동방법에 의한 코딩

 

5. Barnes의 동작경제 원칙 중 작업영의 배치에 관한 원칙 5가지를 쓰시오.

  - 모든 공구와 재료는 일정한 위치에 정돈되어야 한다.

  - 공구와 재료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자의 주위에 있어야 한다.

  - 중력을 이용한 부품상자나 용기를 이용하여 부품을 부품 사용 장소에 가까이 보낼 수 있도록 한다.

  - 가능하면 낙하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 공구 및 재료는 동작에 가장 편리한 순서로 배치한다.

 

6. 육체적 노동 강도를 측정하는 생리적 부하 척도 5가지를 쓰시오.

  - 근전도(EMG)

  - 산소소비량

  - 에너지대사율

  - 심박수

  - 보그 스케일(Borg Scale)

 

7. 점멸융합주파수(CFF)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빛을 일정한 속도로 점멸시키면 깜박거려 보이나 점멸의 속도를 빨리하면 깜빡임이 없고 융합되어 연속된 광으로 보일 때 점멸주파수이다. 점멸융합주파수는 피곤함에 따라 빈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충추신경계의 피로, 즉 '정신피로'의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잘 때나 멍학 있을 때 CFF가 낮고, 마음이 긴장되었을 때나 머리가 맑을 때 높아진다.

 

8. VDT 작업설계 시 다음의 (     )에 알맞은 값을 넣으시오.

  1) 화면은 ( 회천 ) 및 경사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2) 화면에 나타나는 문자, 도형과 배경의 ( 휘도비 )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키보드의 경사는 5도 이상 (  15 )도 이하, 두께는 3cm 이하로 해야 한다.

  4) 작업대의 끝면과 키보드 사이의 간격은 ( 15 )c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5) 화면과의 거리는 최소 ( 40 )cm 이상이 확보되도록 한다.

  6) 화면상의 시야범위는 수평선상에서 10도 ~ ( 15 )도 밑에 오도록 한다.

 

9. 특정작업에 대한 10분의 작업마다 5분간의 산소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90L의 배기량에서 산소가 14%, 이산화탄소가 6%로 분석되었다. 다음 중 산소소비량과 에너지소비량을 구하시오. (단, 공기 중 산소는 21vol%, 질소는 79vol%라고 한다.)

  - 계산

     산소소비량 = (21% x 분당흡기량) - (산소 x 분당배기량)

                       = (21 x 18.23) - (14%-18) = 1.31L/분

      * 분당 배기량 = 배기량 / 시간 = 90L/5=18L/분

      * 분당흡기량 = ( (100 -  산소 - 이산화탄소) / 질소 ) x 분당배기량

                            = ((100-14 - 6)/79)x18=18.23L/분

     에너지소비량 = 5kcal/l(산소 1L당 열량 5kcal/l) x 산소소비량

                          = 5 x 1.31 = 6.55kcal/min

 

10. GOMS 모델에 대해 설명하고 4가지 구성요소를 쓰시오.

  1) GOMS 모델 : 숙련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지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다. 또한 하나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전체문제를 하위문제로 분해하고 분해된 가장 작은 하위문제들을 모두 해결함으로써 전체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 GOMS 모델의 기본논리이다.

  2) GOMS 모델 4가지 구성 요소 : 목표, 연산자 또는 조작, 방법, 선택규칙

 

11. 유해요인기본조사의 작업장 상황과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 항목을 각 2가지씩 쓰시오.

  1) 작업장 상황

     - 작업공정 변화

     - 작업설비 변화

  2)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

     - 근골격계질환 증상과 징후

     - 직업력

 

12.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시스템정의 2. 기본 설계 3.인터페이스 설계
4. 목표 및 성능명세 결정 5. 촉진물 설계 6. 평가

  1) 표에 나와 있는 인간 - 기계 시스템의 설계과정을 보고 알맞은 순서로 나열하시오.

    - 4->1->2->3->5->6

  2) 인간-기계 시스템 중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인간의 기능을 2가지 적으시오.

    - 감시, 정비유지, 프로그래밍

 

13. 제이콥 닐슨의 사용성 정의 5가지를 쓰시오.

  - 학습용이성

  - 효율성

  - 기억용이성

  - 에러 빈도 및 정도

  - 주관적 만족도

 

14. 인체측정 자료의 응용원칙 3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 인체측정학 관점에서 볼 때 보통인 사람이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이런 사람을 대상으로 장비를 설계하면 안된다는 주장에도 논리적 근거가 있따. 특정한 장비나 설비의 경우, 최대집단값이나 최소집단값을 기준으로 설계하기로 부적절하고 조절식으로하기도 불가능할 경우 평균값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경우가 있다.

  -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 특정한 설비를 설계할 때, 어떤 인체측정 특성의 한 극단에 속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계하면 거의 모든 사람을 수용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최대집단값에 의한 설계, 최소집단값에 의한 설계가 있다.

  - 조절식 설계원칙 : 체격이 다른 여러 사람에게 맞도록 조절식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15. 어떤 요소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10회 측정한 결과 평균시간이 2.20분, 표준편차가 0.35분이었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레이팅 계수가 110%, 정미시간에 대한 PDF 여유율은 20%일 때, 표준시간과 8시간 근무 중 PDF 여유시간을 구하시오.

    - 표준시간(외경법) = 관측시간의 평균 x (레이팅 계수 / 100) x (1+여유율)

                     = 2.2 x (110 / 100 ) x (1 + 0.2) = 2.90

    - 표준 시간에 대한 여유 시간 = 표준시간 - 정미시간

                                                 = 2.90 - 2.42 = 0.48

    - 표준 시간에 여유시간 비율 = 표준시간에 대한 여유 시간 / 표준시간

                                               = 0.28 / 2.90 = 0.17

    - 따라서, 8시간 근무 중 여유시간 = 480 x 0.18 = 81.8분

 

  2)  '1)'항에서 여유율 20%를 근무시간에 대한 비율로 잘못 인식하여 표준시간을 계산할 경우 기업과 근로자 중에 어느 쪽에 분리하게 되는지 표준시간을 구하여 판단하시오.

    - 표준시간(내경법) = 관측시간의 평균 x (레이팅 계수 / 100) x (1 / 1 - 여유율)

                                  = 2.20 x (110/100) x (1/1-02) = 3.03

    - 따라서, 외경법으로 구한 표준시간은 2.90, 여유율을 잘못 인식하여 내경법으로 구한 표준시간은 3.03으로 내경법으로 구한 표준시간이 크므로 기업 쪽에서 분리하다.

 

16. 1개의 제품을 만들 때 기계에 물리는 데 2분, 기계 자동 가공시간이 3분 일 때, 2대의 기계로 작업하는 경우 작업주기시간과 생산량을 구하시오.

  1) 작업주기시간

  2) 1시간 동안 생산량

   - 기계에 물리는 데 시간 : 2분(a)

   - 독립적인 작업자 활동시간 : 0분(b)

   - 기계 작동 가공시간 : 3분(t)

 

   - n = a + t / a +b

        = 5 / 2 = 2.5

 

   - 작업주기 시간 = a + t = 2 + 3 = 5(분)

   - 1시간동안 생산량 = 2 / ( a + t) x 60 = 2 / (2 + 3) x 60 = 24개

 

17. A와 B의 양품과 불량품을 선별하는 기대치를 구하고 보다 경제적인 대안을 고르시오.

- 양품을 불량품으로 판별한 경우 발생 비용 : 60만원
- 불량품을 양품으로 판별할 경우 발생 비용 : 10만원
구분 양품을 불량품으로
오류내지 않을 확률
불량품을 양품으로
오류내지 않을 확률
A 60% 90%
B 80% 80%

  1) A의 경우

     - 양품을 불량품으로 판별할 경우 발생 비용 : 60만원 x 0.4 = 24만원

     - 불량품을 양룸으로 판별할 경우 발생 비용 : 10만원 x 0.05 = 5천원

     - A의 기대치 = 24.5천원

  2) B의 경우

     - 양품을 불량품으로 판별할 경우 발생 비용 : 60만원 x 0.2 = 12만원

     - 불량품을 양룸으로 판별할 경우 발생 비용 : 10만원 x 0.2 = 2천원

     - B의 기대치 = 14만원

  

   따라서, A>B 이므로, B의 경우가 더 경제적인 대안이다.

 

18. 작업개선을 위한 SCAMPER 기법에서 M, P, 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S(substitute) 대체하기

  - C(combine) 결합하기

  - A(adjuct,adapt) 조절하기, 적용하기

  - M(modify,magnify,minify) 변형하기, 확대하기, 축소하기

  - P(put to other use)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 E(eliminate) 제거하기

  - R(rearrange) 재정렬하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