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기사 관련

[인간공학기사]2020년 8월 22일 필기 기출문제_타이핑

숨고 2024. 5. 26. 10:26

1과목 : 인간공학개론

 

1. 회전운동을 하는 조종장치의 레버를 40° 움직였을 때 표시장 치의 커서는 3cm 이동하였다. 레버의 길이가 15cm 일 때 이 조종장치의 C/R비는 약 얼마인가?

  1) 2.62

  2) 3.49

  3) 8.33

  4) 10.48

 

2. 사용자의 기억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잔상은 단기기억(Short-team memory)의 일종이다.

  2) 인간의 단기기억(Short-team memory) 용량은 유한하다.

  3) 장기기억을 작업기억(Working memory) 이라고도 한다.

  4) 정보를 수초동안 기억하는 것을 장기기억(Long-team memory) 이라 한다.

 

3. 정량적 표시장치(Quantitative displa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력이 나쁜 사람이나 조명이 낮은 환경에서 계기를 사용 할 때는 눈금단위(Scale unit) 길이를 크게 하는 편이 좋 다.

  2) 기계식 표시장치에는 원형, 수평형, 수직형 등의 아날로그 표시장치와 디지털 표시장치로 구분된다.

  3) 아날로그 표시장치의 눈금단위(Scale unit) 길이는 정상 가시거리를 기준으로 정상 조명 환경에서는 1.3mm 이상 이 권장된다.

  4) 아날로그 표시장치는 눈금이 고정되고 지침이 움직이는 동목(Moving scale)형과 지침이 고정되고 눈금이 움직이 는 동침(Moving pointer)형으로 구분된다.

 

4. 작업장에서 인간공학을 적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효과를 볼 수 없는 것은?

  1) 회사의 생산성 증가

  2) 작업손실 시간의 감소

  3) 노.사간의 신뢰성 저하

  4) 건강하고 안전한 작업조건 마련

 

5. 다음 중 기능적 인체치수(Functional body dimension) 측정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앉은 상태에서만 측정하여야 한다.

  2) 5~95%tile에 대해서만 정의된다.

  3) 신체 부위의 동작범위를 측정하여야 한다.

  4) 움직이지 않는 표준자세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6. 음의 한 성분이 다른 성분의 청각감지를 방해하는 현상은?

  1) 은폐효과

  2) 밀폐효과

  3) 소멸효과

  4) 도플러효과

 

7. 조종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R비가 크면 민감한 장치이다.

  2) C/R비가 작은 경우에는 조종장치의 조정시간이 적게 필 요하다.

  3) C/R비가 감소함에 따라 이동시간은 감소하고, 조종시간은 증가한다.

  4) C/R비는 반응장치의 움직인 거리를 조종장치의 움직인 거리로 나눈 값이다.

 

8. 연구 자료의 통계적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빈값은 자료의 중심 경향을 나타낸다.

  2) 분산은 자료의 퍼짐 정도를 나타내 주는 척도이다.

  3) 상관계수 값 +1은 두 변수가 부의 상관 관계임을 나타낸 다.

  4) 통계적 유의수준 5%는 100번 중 5번 정도는 판단을 잘못 하는 확률을 뜻한다.

 

9. 시각적 표시장치와 청각적 표시장치 중 청각적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경우는?

  1) 수신장소가 너무 시끄러운 경우

  2) 직무상 수신자가 한곳에 머무르는 경우

  3) 수신자의 청각 계통이 과부하 상태일 경우

  4) 수신장소가 너무 밝거나 암조응이 요구될 경우

 

10. 신호검출이론(SDT)에서 신호의 유무를 판별함에 있어 4가지 반응 대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긍정(Hit)

  2) 누락(Miss)

  3) 채택(Acceptation)

  4) 허위(False alarm)

 

11. 암조응(Dark adapt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적색 안경은 암조응을 촉진한다.

  2) 어두운 곳에서는 주로 원추세포에 의하여 보게 된다.

  3) 완전한 암조응을 위해 보통 1~2분 정도의 시간이 요구 된다.

  4) 어두운 곳에 들어가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조절하기 위하여 동공이 축소된다.

 

12.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모든 암호 표시는 다른 암호 표시와 구별될 수 있어야 한다. 인접한 자극들 간에 적당한 차이가 있어 전부 구별 가능하더라도, 인접 자극의 상이도는 암호 체계의 효율에 영향을 끼친다.

  1) 암호의 검출성(Detectability)

  2) 암호의 양립성(Compatibility)

  3) 암호의 표준화(Standardization)

  4) 암호의 변별성(Discriminability)

 

13. 다음 그림은 Sanders와 McCormick이 제시한 인간-기계 통 합 체계의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본 기능의 유형이다. 그림의 A부분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통신

  2) 정보수용

  3) 정보보관

  4) 신체제어

 

14. 인간공학적 설계에서 사용하는 양립성(Compatibility)의 개념 중 인간이 사용한 코드와 기호가 얼마나 의미를 가진 것인 가를 다루는 것은?

  1) 개념적 양립성

  2) 공간적 양립성

  3) 운동 양립성

  4) 양식 양립성

 

15. 지하철이나 버스의 손잡이 설치 높이를 결정하는데 적용하는 인체치수 적용원리는?

  1) 평균치 원리

  2) 최소치 원리

  3) 최대치 원리

  4) 조절식 원리

 

16. 시스템의 평가척도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간 기준(Numan criteria)

  2) 관리 기준(Management criteria)

  3) 시스템 기준(System-descriptive criteria)

  4) 작업성능 기준(Task performance criteria)

 

17. 실현 가능성이 같은 N개의 대안이 있을 때 총 정보량(H)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H = log N2

  2) H = log2 N

  3) H = 2 log2 N2

  4) H = log 2N

 

18. 인간의 후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훈련을 통하면 식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특정한 냄새에 대한 절대적 식별 능력은 떨어진다.

  3) 후각은 특정 물질이나 개인에 따라 민감도의 차이가 있 다.

  4) 후각은 훈련을 통하여 구별할 수 있는 일상적인 냄새의 수는 최대 7가지 종류이다.

 

19. 작업 중인 프레스기로부터 50m 떨어진 곳에서 음압을 측정 한 결과 음압 수준이 100dB이었다면, 100m 떨어진 곳에서 의 음압수준은 약 몇 dB 인가?

  1) 90

  2) 92

  3) 94

  4) 96

 

20. 종이의 반사율이 70%이고, 인쇄된 글자의 반사율이 15%일 경우 대비(Contrast)는?

  1) 15%

  2) 21%

  3) 70%

  4) 79%

 

2과목 : 작업생리학

 

21. 물체가 정적 평형상태(Static equilibrium)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으로 작용하는 모든 힘의 총합과 외부 모멘트의 총합이 옳은 것은?

  1) 힘의 총합 : 0, 모멘트의 총합 : 0

  2) 힘의 총합 : 1, 모멘트의 총합 : 0

  3) 힘의 총합 : 0, 모멘트의 총합 : 1

  4) 힘의 총합 : 1, 모멘트의 총합 : 1

 

22. 전신의 생리적 부담을 측정하는 척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뇌전도(EEG)

  2) 산소소비량

  3) 근전도(EMG)

  4) Flicker 테스트

 

23. 최대산소소비능력(Maximum Aerobic Power; MAP)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MAP는 실제 작업현장에서 작업 시 측정한다.

  2) 젊은 여성의 MAP는 남성의 40~50% 정도이다.

  3) MAP란 산소 소비량이 최대가 되는 수준을 의미한다.

  4) MAP는 개인의 운동역량을 평가하는데 널리 활용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