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공학기사 관련

[인간공학기사]인간공학기사 출제기준(필기), 적용기간 2020.1.1~2024.12.31

by 숨고 2024. 5. 11.

한국산업안전공단 사이트를 보면 모든 자격증에 대해서 여러가지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그중에 출제기준을 올려둔 파일이 있습니다. 출제기준인것만큰 그에 해당하는 기준으로 공부 자료를 만들어 볼까 합니다. 그 항목에 맞는 중요문제, 중요내용을 찾아서 작성을 해보겠습니다. 공부하시는데 참고하세요.

 

인간공학 개론[20문항]

1. 인간공학적 접근
1) 인간공학의 정의
- 정의
- 목적 및 필요성
- 역사적 배경
2) 연구절차 및 방법론
- 연구변수 유형 및 선정 기준
- 연구 개요 및 절차
2. 인간의 감각기능
1) 시각기능
- 시각과정
- 빛과 조명
- 시식별 요소
2) 청각기능
- 청각과정
- 음량의 측정
3) 촉각 및 후각기능
- 피부 감각
- 후각
3. 인간의 정보처리
1) 정보처리 과정
- 정보처리과정
- 기억체계
- 지각능력
- 정보처리능력
2) 정보이론
- 정보전달경로
- 정보량
3) 신호검출이론
- 신호검출모형
- 판단기준
4. 인간기계 시스템
1) 인간기계 시스템의 개요
- 시스템 정의와 분류
- 인간기계시스템
- 인터페이스 개요
- 인터페이스 설계 및 개선 원리
2) 표시장치(Display)
- 표시장치 유형
- 시각적 표시장치
- 청각적 표시장치
3) 조종장치(Control)
- 조정장치 요소 및 유형
- 조종-반응비율(C/R 비)
5. 인체측정 및 응용
1) 인체측정 개요
- 인체 치수 분류 및 측정 원리
2) 인체측정 자료의 응용원칙
- 조절식 설계
- 극단치 설계
- 평균치 설계

작업생리학[20문항]

1. 인체구성 요소
1) 인체구성 요소
- 인체 구성요소의 특징
2) 근골격계 구조와 기능
- 골격
- 근육
- 관절
- 신경 등
3) 순환계 및 호흡계의 구조와 기능
- 순환계
- 호습계
2. 작업생리
1) 작업 생리학 개요
- 작업생리학의 정의 및 요소
2) 대사 작용
- 근육의 구조 및 활동
- 대사
- 에너지 소비량
3) 작업부하 및 휴식시간
- 작업 부하 측정
- 휴식시간의 산정
3. 생체역학
1) 인체동작의 유형과 범위
- 척수
- 관절의 운동
- 신체부위의 동작유형
2) 힘과 모멘트
- 힘
- 모멘트
- 힘과 모멘트의 평형
- 생체 역학적 모형
3) 근력과 지구력
- 근력
- 지구력
4. 생체반응 측정
1) 측정의 원리
- 인체활동의 측정 원리
- 생체 신호와 측정장비
2) 생리적 부담 척도
- 심장활동 측정
- 산소소비량
- 근육활동
3) 심리적 부담 척도
- 정신활동 측정
- 부정맥지수
- 점멸융합 주파수
5. 작업환경 평가 및 관리
1) 조명
- 빛과 조명
- 작업장 조명 관리
2) 소음
- 소음수준
- 노출기준
- 소음관리
3) 진동
- 진동
- 노출기준
- 관리방법 및 대책
4) 고온, 저온 및 기후 환경
- 열 스트레스 및 평가
- 고열 및 한랭작업
5) 교대작업
- 교대작업
- 작업주기 및 작업순환

산업심리학 및 관계 법규[20문항]

1. 인간의 심리특성
1) 행동이론
- 인간관계와 집단
- 집단행동
- 인간의 행동특성
2) 주의/부주의
- 인간의 특성과 안전심리
- 부주의 원인과 대책
3) 의식단계
- 의식의 특성
- 피로
4) 반응시간
- 반응시간
5) 작업동기
- 동기부여 이론
- 직무만족과 사기
2. 휴먼 에러
1) 휴먼에러 유형
- 인간의 착오와 실수
- 오류모형
2) 휴먼에러 분석기법
- 인간신뢰도
- THERP
- ETA
- FTA 등
3) 휴먼에러 예방대책
- 휴먼에러 원인 및 예방 대책
3. 집단,조직 및 리더십
1) 조직이론
- 집단 및 조직의 특성
2) 집단역학 및 갈등
- 집단 응집력
- 규범
- 동조
- 복종
- 집단갈등
- 인간관계 관리
- 집단 역학
3) 리더십 관련 이론
- 리더십 유형
- 리더십 이론
4) 리더십의 유형 및 기능
- 리더십 유형
- 권한과 기능
4. 직무 스트레스
1) 직무 스트레스 개요
- 스트레스 이론
- 직무 스트레스 정의 및 작업능률
2) 직무 스트레스 요인 및 관리
- 직무 스트레스 요인 및 관리
5. 관계 법규
1) 산업안전보건법의 이해
- 법에 관한 사항
- 시행령에 관한 사항
- 시행규칙에 관한 사항
-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사항
2) 제조물 책임법의 이해
- 제조물 책임법
6. 안전보관리
1) 안전보건관리의 원리
- 안전보건관리 개요
- 재해발생 및 예방원리
- 사업장 안전보건교육
2) 재해조사 및 원인분석
- 재해조사
- 원인분석
- 분석도구
- 재해통계
3) 위험성 평가 및 관리
- 위험성평가 체계 구축
- 유해위험요인 파악
- 위험성평가 방법 결정
- 위험감소 대책수립
4) 안전보건실우
- 안전보건관리체제 확립
- 보건관리계획수립 및 평가
- 건강관리
- 개인보호구
- MSDS
- 안전보건표지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 관리

1. 근골격계 질환 개요
1) 근골격계 질환의 종류
- 근골격계질환 정의 및 유형
2)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
- 근골격계질환의 발생 원인
- 부담작업
3) 근골격계 질환의 관리 방안
-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원리
2. 작업관리 개요
1) 작업관리의 정의
- 방법연구 및 작업측정
2) 작업관리절차
- 작업관리의 목적
- 문제해결절차
- 디자인 프로세스
3) 작업개선원리
- 개선안의 도출방법 및 개선원리
3. 작업분석
1) 문제분석도구
- 문제의 분석도구(파레토차트,특성요인도 등)
2) 공정분석
- 공정효율
- 공정도
- 다중활동분석표
3) 동작분석
- 동작분석과 Therblig
- 비디오 분석
- 동작 경제원칙
4. 작업측정
1) 작업측정의 개요
- 표준시간
- 시간연구
- 수행도평가
- 여유시간
2) Work sampling
- Work sampling 원리
- 절차
- 응용
3) 표준자료
- 표준자료
- MTM
- Work factor 등
5. 유해요인 평가
1) 유해요인 평가 원리
- 유해요인 평가
- 샘플링과 작업평가원리
2) 중량물취급 작업
- 중량물 취급 방법
- NIOSH Lifting Equation
3) 유해요인 평가방법
- OWAS
- RULA
- REBA 등
4) 사무/VDT 작업
- 사무/VDT 작업 설계 지침
6. 작업설계 및 개선
1) 작업 방법
- 작업대 및 작업공간의 개선원리
2) 작업대 및 작업공간
- 작업대 및 작업공간의 개선원리
3) 작업설비 / 도구
- 수공구 및 설비의 개선원리
4) 관리적 개선
- 관리적 개선 원리 및 방법
5) 작업공간 설계
- 작업공간
- 공간 이용 및 배치
7. 예방관리 프로그램
1) 예방관리 프로그램 구성요소
-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목표
- 구성요소 및 절차